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고수들의 질문법

by SJ_Engineer 2022. 7. 13.

책을 보거나 공부를 하면서 느끼는 것은, 지식인들의 깨달음의 종착역은 비슷하다는 것이다.

이 책의 저자의 이력만 보더라도, 내가 잘 모르긴 몰라도 고분자 박사로 미국에서 학위를 받고 대기업의 상무를 하신 후에 독서모임을 주최하며 강연을 업으로 하시고 계신것으로 보아 지식과 경험의 스펙트럼이 굉장한 것 같다. 이 책에서 강조하는 두가지만 꼽으면 목표를 잘 세우는 것과 좋은 질문(나에게, 타인에게)을 하는 법이다.

더보기

목표는 최고의 동기부여 수단이다.
목표가 있으면 벌떡일어나 책상 앞에 앉게 되고, 또 목표가 없으면 쉽게 흔들리고 방황하게 된다.
목표는, 사람을 성장하게 한다.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스스로 질문을 던지라고 한다.
"어떤 목표를 갖고 있는가?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?"
어떻게 대답해야할지 막막한 우리를 위해 어떻게 더 구체적으로 질문할지도 알려준다. 그리고 내 기준으로 답하면 이렇다. 
  1. 목표를 세워 성과를 낸 경험이 있는가?
    - 여러번 성공해보았고, 어중간하게 성공하기도 보기도 했으며, 또 실패하기도 했다.
    - 성공한 것은 사업계획을 수립해서, 제 시간 내에 종료되도록 관리한 것.

    - 어중간하게 성공하거나 실패한 것은, 공부를 해서 성적을 관리하는 것.
  2. 만약 지금까지 목표 달성에 계속해서 실패해 왔다면, 그 이유가 무엇일까?
    - 돌이켜봤을 때, 실패한 이유는 목표와 희망사항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. 희망하지만, 목표로서 생각하지 않아서 구체적인 시행방안과 나의 액션을 수립하지 않아서가 아닐까.
  3. 지금까지의 실패를 극복하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?
    - 일단 공부하기 위해 의자에 앉는 것이다. 생각보다 하루에 공부할 수 있는 시간 자체가 얼마 없다. 그리고, 그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위해 휴대폰을 보는 시간이 없어야 한다. 여기 미국에서 휴대폰으로 노닥거릴이유는 사실.. 없다. 
    -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, 어떤 플랫폼으로 해야할지, 코딩은 얼마나 해봐야할지 아직도 잘 모르는 것 같다.  
  4. 현재 당신의 목표는 무엇인가?
    - 우선순위는 석사학위를 받기 위해 논문을 쓰는 것이다.
  5. 목표 달성에 있어서 또다시 실패하지 않으려면 이번엔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?
    - 논문작성을 위한 배경지식과 실력을 쌓아야 한다. 시스템 엔지니어링, 스케줄링, 그리고 데이터마이닝도 알아야 할 것이다.
  6. 현재의 목표는 당신의 인생에서 어느정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?
    - 지금 공부하는 것이 해군으로 복귀해서도, 그리고 그 이후의 삶(취직)의 방향을 결정지을 것이라 확신한다.
  7. 좋은 목표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?
    - 원하는 시기에, 원하는 모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목표이다. 단기적으로, 장기적으로 내가 원하는 모습이 있을 것이다.
  8. 현재가 아닌 인생 전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,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?
    - 전역 이후에도 능력을 쓸 수 있는 삶이다.
    - 아카데미아나 업계에서 쓸 수 있도록 계속 공부하고 실력을 쌓아가서 녹슬지 않는 것이다.
    - 아이 둘을 기르더라도 경제적으로 어느정도 안정적인 삶이다. 어느정도라 하는 것은 애매한 말이지만, 또한 그 외에 적당한 말이 없는 것 같다.

만약 질문에 답할 거리가 생각나지 않는다면, 질문을 바꿔보든 것도 좋은 방법이다.
이를테면, 시간의 축을 바꾸는 질문. 3년후, 10년후에는 어떨까 ? 하는 식이다. 

"답하는 것보다 어려운 건 문제를 내는 것이다."

대부분의 사람들은 별 문제가 없다고 얘기하지만 과연 아무 문제가 없을까? 그렇지 않다. 그들의 가장 큰 문제는 '무엇이 문제인지 인지하지 못하는 것' 이다. 문제를 푸는건 쉽다. 문제를 내는 것이 어려운 것이다. 문제 제기를 할 수 있다면, 자신의 문제가 무엇인지 정확히 안다면 나머지 문제는 문제도 아니다. 

사실 이 말은 모든 것을 관통하는 얘기인 것 같다. 지금 내 앞에 닥친 논문쓰기만 보더라도, 모든이가 하는 말이 주제가 정해지면 쓰는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. 하지만 문제를 정의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려운 일임을 써 본 이들은 알 것이다.

결국, 문제가 무엇인지, 우리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스스로 정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. 

삶에 의미가 있다면 인간은 모든 것을 견딜 수 있지만,
반대로 삶에 의미가 없다면 어떤 것도 참을 수 없다.
<목적이 이끄는 삶>, 릭 워런Rick Warren

 

 

댓글